| 현장 적응형 공학교육 |  
① 현장적응형 프로그램 수행② 현장적응형 교육과정 운용 | 
 
 
|  
① 산업체 장기인턴십 프로그램(LTIP) 수행 
- 산업체 장기 인턴십 프로그램 수행 - 인턴십 프로그램의 기획, 관리, 경진대회 등 실행② 인턴십 사전 교육 프로그램 운용 
- 인턴십 사전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수행 - 산업체 CEO 특강, 컴퓨터 실무, 공학윤리, 예절교육 등 | 
 
 
| 산학협력 공학교육 |  
① 산학협력 교육 수행② 산업체 적응형 교육과정 수행③ 산학공동체적 교육환경 구축 | 
 
 
|  
① 산학협력 팀 티칭 교과목 운영 
- 산업체 전문가와 대학교수로 팀을 구성하여 교육 - 2013년 2개 학부 이상 확대 실시② 산업체 실무자 멘토형 캡스톤 설계과제 수행 
- 산업현장의 문제를 캡스톤 설계과제로 도출 - 설계과제 수행과정에 산업체 전문가를 멘토로 참여③ 산학위원회 운영 
- 공학대학 산학협력중점교수를 중심으로 구성 - 매 학기 2회 회합을 통한 산학협력 CQI 구현 | 
 
 
| 다학제간 협력교육 |  
① 공학분야 다학제간 협력교육② 타학문 분야 협력 교육③ 다학제간 교육기회 제공④ 융합교육 기반 조성 | 
 
 
|  
① 미래 융합신산업분야 연계트랙 운영 
- 다학제간 교과과정 제공 (예:신재생에너지 연계트랙 등) - 필요한 교과과정 이수 시 연계트랙 이수 증명서 수여② 융합교과목 운영 (예:공학+경영학 등) 
- 공과대학 '기술경영','정주영 경영학' 등 교과목 개발지원 - 필요한 교과과정 이수 시 공학경영 과정 이수증 수여③ 다학제간 교육과정 개발 (예:공학+디자인+심리학 등) 
- 공과대학 다학제간 설계 교육과정 개발 지원 - 다학제간(공학+디자인) 교안개발 및 교과과정 제공 - 다학제간 캡스톤디자인 원격강의 프로그램 지원④ 융합교육관련 교육환경 조성 (예:공학+인문/사회/철학 등) 
- 융합교육 관련 정기세미나 개최 - 융합교육교안 개발 및 교과과정 제공 |